아마존 급등에 놀란 사람들
아마존 급등에 놀란 사람들

 

DA Davidson 에서 아마존의 목표가를 300달러로 올린 이유

최근 미국 증시에서 아마존(Amazon.com, 티커: AMZN)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 보여지는 것은 증권사 DA Davidson이

아마존의 목표주가를 265달러에서 300달러로 상향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은 더욱 커졌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아마존이 왜 이렇게 오르고 있는 걸까요?
단순한 ‘기대감’이 아니라, 실적과 미래 전략이 분명히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아래 이같은 이유를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실적이 예상보다 훨씬 좋았다

아마존은 최근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적(Q3)**에서 시장의 예상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매출: 1,801억 달러 (예상치 1,778억 달러 상회)
  • 순이익(EPS): 1.95달러 (예상치 1.73달러 상회)
  • 주가 반응: 실적 발표 직후 시간외 거래에서 +12~13% 급등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부분은 바로 **클라우드 부문(AWS)**입니다.
AWS의 매출이 전년 대비 20% 증가하며, 최근 몇 년간의 성장 둔화를 완전히 회복했죠.
이건 단순한 반등이 아니라, AI(인공지능) 수요 폭발이

클라우드 사업에 새 바람을 불어넣었다는 뜻입니다.


2. “설비투자(CapEx)” 대폭 확대 발표, 미래 성장 자신감

이번 실적에서 가장 중요한 발표는 바로 ‘설비투자(CapEx)’ 확대입니다.

CapEx는 쉽게 말해 회사가 미래를 위해 지금 돈을 미리 쓰는 것,
데이터센터를 짓고, AI 서버를 사고, 인프라를 확충하는 비용이에요.

아마존은 올해(2025년) 설비투자 규모를 약 1,250억 달러로 잡았습니다.
이는 작년(2024년) 약 830억 달러보다 훨씬 많습니다 거의 50% 이상 증가죠.

이건 단순히 돈을 더 쓰겠다는 게 아닙니다.

“AI와 클라우드 시대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이렇게 해석했습니다.

“이 정도로 투자한다면, 향후 몇 년간 아마존은 AI 인프라 시장의 중심에 서 있을 가능성이 크다.”


 3. 클라우드 외 사업들도 ‘고르게’ 성장 중

아마존은 단지 클라우드 기업이 아닙니다.
광고, 온라인 쇼핑, 프라임 멤버십 등 다양한 수익원이 존재하죠.

이번 분기에서도

  • 광고(Ads)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
  • 리테일(판매) 부문이 효율화로 마진 개선,
  • 프라임 구독 서비스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즉,

“한쪽(클라우드)에만 기대는 기업이 아니라, 여러 엔진이 동시에 돌아가는 회사”
라는 걸 시장에 보여준 겁니다.
이건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뜻이죠.


4. 투자자들의 해석  “이건 단기 반등이 아니라 리레이팅”

DA Davidson은 이런 흐름을 분석하며
목표주가를 3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 이유는 명확합니다 

  1. 클라우드(AWS) 성장률 회복 → 다시 20%대로 복귀
  2. AI 인프라 투자 확대 → 미래 성장 기반 강화
  3. 리테일·광고 부문 수익성 개선 → 실적 체력 향상

결국 시장은 “아마존이 다시 성장 모드로 돌아왔다”고 판단한 겁니다.


💬 5. 한 줄 요약

아마존 급등의 핵심 이유는 ‘실적 개선 + AI 인프라 투자 확대 + 다각화된 수익 구조’입니다.
단순한 단기 반등이 아니라, 미래 성장에 대한 신뢰 회복이 주가를 끌어올렸습니다.


📈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1. AWS 성장률이 20% 이상 유지되는가
  2. AI 서버와 데이터센터 확장 속도
  3. CapEx 투자 대비 수익성(ROI) 개선 여부

이 세 가지가 향후 아마존 주가의 방향을 결정할 핵심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

PCE에 환호하는 개미들
PCE에 환호하는 개미들

 

지난 금요일(9월 27일 새벽, 한국시간), 미국 주요 증시가 나란히 상승했죠.
그 배경에는 바로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최근 시장 분위기 먼저 짚어볼까요?

사실 이번 PCE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아주 중요한 발표였어요.
왜냐하면 얼마 전 연준이 내년 금리 인하 횟수 전망을 2번에서 3번으로 조정했거든요.

그런데 그 직후, 파월 의장이 “빅테크 주가가 상당히 고평가돼 있다”는 발언을 하면서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그 영향으로 3일 연속 미국 증시가 하락세를 보였죠.

 

그러다 보니 투자자들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이번 PCE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쏠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 흐름을 다시 확인하고, 연준의 정책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지표였기 때문이에요.


PCE 발표와 시장의 안도감

결과적으로 이번 PCE는 시장이 예상했던 범위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헤드라인과 핵심 PCE 모두 무난하게 나와주면서, 그동안 짙어졌던 불확실성이 한결 줄어든 거죠.

“혹시 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어떡하지?” 하는 우려가 사라지자,
투자심리가 살아났고, 그 덕분에 금요일 미국 증시가 동반 상승한 겁니다.

 

시장의 기대치(가이던스)와 실제 결과

  • 시장 가이던스
    전년 대비 헤드라인 PCE는 +2.7%, 핵심 PCE(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9% 수준이 예상됐습니다.
  • 실제 발표
    결과는  PCE는 +2.7%, 핵심 PCE(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9%로 동일하게 나왔습니다.
    큰 차이는 없었고, 시장이 미리 그려놨던 그림과 맞아떨어졌죠.

왜 미국 증시는 동반 상승했을까?

발표 직후 S&P500, 다우, 나스닥이 모두 반등했습니다.
이건 단순히 수치 때문이 아니라, PCE가 예상에 부합했다는 사실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1. 예상치와 일치 → 불확실성 해소
    “혹시 물가가 튀어나올까?”라는 걱정이 사라지면서 투자자들이 안도했습니다.
  2. 금리 부담 완화 기대
    물가가 안정적이니, 연준이 금리를 급격히 더 올릴 필요는 없다는 시그널로 해석됐습니다.
  3. 투자심리 회복
    안정된 인플레이션 흐름은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4. 섹터 전반 상승
    기술주, 경기 민감주 모두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고르게 올랐습니다.

투자자가 챙겨봐야 할 포인트

  • 이번 상승은 PCE 덕분이었다
    단순히 “좋은 뉴스가 나왔다”가 아니라,
    PCE가 가이던스와 부합했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줄고 증시가 반등한 겁니다.
  • 연준의 정책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발표가 예상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건,
    연준이 지금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상황을 지켜볼 여지가 있다는 뜻입니다.
  • 앞으로는 후속 지표가 더 중요하다
    고용, 소비, 제조업 지표가 추가로 나오면 시장의 방향성은 또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리

이번 금요일 미국 증시의 동반 상승은 바로

PCE 발표가 시장의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투자자들이 두려워하던 불확실성이 줄어든 덕분에,

시장은 안도했고 그 결과 전반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난 거죠.

 

앞으로도 중요한 건 단순히 지표의 높고 낮음이 아니라, “가이던스와의 차이가 얼마나 있는가”입니다.

 

이번처럼 시장이 예상한 범위 안에서 움직인다면,

투자심리는 안정되고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커집니다.

 

3일동안 주가가 빠지는거 잘 참으신 분들 월요일에있을 반등에 미리 축하 드립니다!

저도 이번에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가 많이 빠지길래 매수해두었는데 월요일이 기대되네요!!

그럼 미장 개미 분들은 모두 안심하시고 즐거운 주말 되세요~^^!!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미국 양적 긴축(QT) 끝낸다  (0) 2025.10.21
OpenAI 선택 받은 AMD 급등!  (0) 2025.10.11
미국 금리 인하 전과 후  (0) 2025.09.19
💵 달러와 금의 상관 관계  (0) 2025.09.18
9월 금리 인하 발표  (0) 2025.09.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