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급등에 놀란 사람들
아마존 급등에 놀란 사람들

 

DA Davidson 에서 아마존의 목표가를 300달러로 올린 이유

최근 미국 증시에서 아마존(Amazon.com, 티커: AMZN)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 보여지는 것은 증권사 DA Davidson이

아마존의 목표주가를 265달러에서 300달러로 상향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은 더욱 커졌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아마존이 왜 이렇게 오르고 있는 걸까요?
단순한 ‘기대감’이 아니라, 실적과 미래 전략이 분명히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아래 이같은 이유를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실적이 예상보다 훨씬 좋았다

아마존은 최근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적(Q3)**에서 시장의 예상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매출: 1,801억 달러 (예상치 1,778억 달러 상회)
  • 순이익(EPS): 1.95달러 (예상치 1.73달러 상회)
  • 주가 반응: 실적 발표 직후 시간외 거래에서 +12~13% 급등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부분은 바로 **클라우드 부문(AWS)**입니다.
AWS의 매출이 전년 대비 20% 증가하며, 최근 몇 년간의 성장 둔화를 완전히 회복했죠.
이건 단순한 반등이 아니라, AI(인공지능) 수요 폭발이

클라우드 사업에 새 바람을 불어넣었다는 뜻입니다.


2. “설비투자(CapEx)” 대폭 확대 발표, 미래 성장 자신감

이번 실적에서 가장 중요한 발표는 바로 ‘설비투자(CapEx)’ 확대입니다.

CapEx는 쉽게 말해 회사가 미래를 위해 지금 돈을 미리 쓰는 것,
데이터센터를 짓고, AI 서버를 사고, 인프라를 확충하는 비용이에요.

아마존은 올해(2025년) 설비투자 규모를 약 1,250억 달러로 잡았습니다.
이는 작년(2024년) 약 830억 달러보다 훨씬 많습니다 거의 50% 이상 증가죠.

이건 단순히 돈을 더 쓰겠다는 게 아닙니다.

“AI와 클라우드 시대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이렇게 해석했습니다.

“이 정도로 투자한다면, 향후 몇 년간 아마존은 AI 인프라 시장의 중심에 서 있을 가능성이 크다.”


 3. 클라우드 외 사업들도 ‘고르게’ 성장 중

아마존은 단지 클라우드 기업이 아닙니다.
광고, 온라인 쇼핑, 프라임 멤버십 등 다양한 수익원이 존재하죠.

이번 분기에서도

  • 광고(Ads)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
  • 리테일(판매) 부문이 효율화로 마진 개선,
  • 프라임 구독 서비스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즉,

“한쪽(클라우드)에만 기대는 기업이 아니라, 여러 엔진이 동시에 돌아가는 회사”
라는 걸 시장에 보여준 겁니다.
이건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뜻이죠.


4. 투자자들의 해석  “이건 단기 반등이 아니라 리레이팅”

DA Davidson은 이런 흐름을 분석하며
목표주가를 3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 이유는 명확합니다 

  1. 클라우드(AWS) 성장률 회복 → 다시 20%대로 복귀
  2. AI 인프라 투자 확대 → 미래 성장 기반 강화
  3. 리테일·광고 부문 수익성 개선 → 실적 체력 향상

결국 시장은 “아마존이 다시 성장 모드로 돌아왔다”고 판단한 겁니다.


💬 5. 한 줄 요약

아마존 급등의 핵심 이유는 ‘실적 개선 + AI 인프라 투자 확대 + 다각화된 수익 구조’입니다.
단순한 단기 반등이 아니라, 미래 성장에 대한 신뢰 회복이 주가를 끌어올렸습니다.


📈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1. AWS 성장률이 20% 이상 유지되는가
  2. AI 서버와 데이터센터 확장 속도
  3. CapEx 투자 대비 수익성(ROI) 개선 여부

이 세 가지가 향후 아마존 주가의 방향을 결정할 핵심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

구글 주가가 올라서 기뻐하는 개미들
구글 주가가 올라서 기뻐하는 개미들

 

미국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29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뉴욕 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엇갈린 흐름을 보였습니다.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예상보다 좋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한 반면,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시장 기대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메타 (Meta Platforms) – 세금 부담으로 ‘깜짝 하락’

메타는 이번 분기 매출이 512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약 494억 달러)를 상회했습니다.
그러나 주당 순이익은 1.25달러로 예상치(6.69달러)를 크게 밑돌며 시장에 실망을 안겼습니다.
이는 세금 관련 비용이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 정규장 마감: +0.03%
  • 시간외 거래: –8.04% (691.22달러)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 클라우드는 강했지만 주가는 약세

MS는 클라우드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40% 급증하며 호조를 보였습니다.


총매출은 776억7,000만 달러로 예상치(753억3,000만 달러)를 웃돌았고,
주당 순이익도 4.13달러로 시장 기대(3.67달러)를 상회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이미 높은 밸류에이션을 의식한 듯 차익 실현에 나섰고,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는 3.34% 하락(523.48달러) 했습니다.

  • 정규장 마감: –0.10%
  • 시간외 거래: –3.34%

알파벳 (Alphabet, 구글 모회사) – 깜짝 실적에 ‘급등’

반면 알파벳은 클라우드 부문의 강력한 성장세에 힘입어
이번 분기 매출 1,024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998억 달러)를 웃도는 수치입니다.
또한 주당 순익은 2.87달러로 예상(2.26달러)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호실적 발표 직후, 알파벳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5.16% 상승(289.38달러) 했습니다.

  • 정규장 마감: +2.51%
  • 시간외 거래: +5.16%

📊 아래 표로 시장 상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업매출(달러)주당순익(EPS)시장예상 대비시간외 주가
메타 512억 1.25 매출 ↑ / 순익 ↓ ▼ 8.04%
마이크로소프트 776.7억 4.13 매출·이익 ↑ ▼ 3.34%
알파벳 1,024억 2.87 매출·이익 ↑↑ ▲ 5.16%

 

위 표와 같이 이번 빅테크 실적은 전반적으로 양호했지만,

 

실적보다 시장 기대치와 주당 순 수익율이 주가에 영향을 더 큰게 미쳤다는 점이 포인트였습니다.

 

이미 높은 밸류에이션을 가진 기업들은 실적이 좋아도 주가가 하락할 수 있었고,
예상치를 크게 상회한 기업은 그만큼의 보상을 받는 모습이었습니다.

반응형

 

CPI발표 후 예상치 와 부합해 황소가 튀어나와 좋아하는 사람
CPI발표 후 예상치 와 부합해 황소가 튀어나와 좋아하는 사람

 

디어 미뤄지던 9월 CPI 수치가 발표되었네요! 

시장에서는 2025년 8월 연간 CPI가 2.9%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다행히 실제 발표에서도 연율 2.9% 상승이 확인되었네요!

 

핵심 물가(식품·에너지 제외)인 ‘코어 CPI’는 연율 3.1% 수준으로,

예상치와 거의 일치했거나 약간 상회했습니다

예상과 거의 동일한 결과로, ‘급격한 인플레이션 재확산’ 우려는 일단 진정된 모습입니다.
특히 에너지와 주거비 항목에서 상승세가 제한적으로 나타나면서,

시장에서는 “물가가 완만하게 안정되고 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 시장 반응 — 3대 지수 동반 상승

현재 미국 증시는 CPI 발표 이후 세 주요 지수 모두 상승 중입니다.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고용 둔화로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자
투자자들은 ‘리스크 자산 선호’로 방향을 전환하는 분위기입니다.

현재 10월 24일 11시(한국시간) 지수등락률(장중 기준)특징
📊 나스닥 (NASDAQ) +1.4% 내외 기술주 중심 강세, 금리 인하 기대 반영
💼 다우존스 (DOW) +0.8% 내외 경기 민감주 반등
🌐 S&P 500 +1.1% 내외 전반적인 리스크온 분위기 확산

 


‘피어 앤 그리드 지수’도 공포(Fear) 단계

현재 CNN의 Fear & Greed Index(공포·탐욕 지수)가 얼마 전 28이었다가 

34로 최대 공포에서 공포로, 투자심리가 어느 정도 회복되었네요


💡 지금 시장을 보는 관점 — “조금씩 사 모을 시점”

현재 상황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물가는 예상치에 부합, 고용은 둔화, 금리 인하 기대는 강화,
시장은 상승 중이지만 투자심리는 아직 조심스러움.”

이 조합은 오히려  ‘조금씩 진입하기 좋은 구간’을 의미합니다.
지나친 낙관도, 과도한 공포도 아닌 균형의 타이밍이죠.

지금처럼 공포지수가 낮을 때 분할 매수 전략으로 접근하면,
시장 전환 국면에서 좋은 평균 단가를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무리 한마디

예상에 부합한 CPI, 둔화되는 고용지표,
그리고 점차 짙어지는 금리 인하 기대감.

이 세 가지가 겹치면서,
미국 시장은 점진적인 상승 랠리 초입부로 들어서는 분위기입니다.

아직 시장은 완전한 탐욕(Greed) 단계가 아닙니다.
지금은 조금씩 사 모으는게 좋아 보입니다.
시장의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방향성은 점점 우상향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반응형

돈 뿌리는 미국 사람
돈 뿌리는 미국 사람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회장 파월이

“양적긴축(QT)” 을 조만간 끝낸다고 시사했는데요

양적긴축을 끝낸다면 어떤 일들이 일어나게 되는지

아래 글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이란?

연준(Fed)이 보유한 국채나 MBS(주택저당증권)

같은 자산을 만기 상환 시 재매입하지 않거나 일부를

시장에 되파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연준이 보유 중인 자산을 줄이면

시중 유동성(돈의 양) 도 줄어듭니다.
이것이 바로 통화 긴축이에요.

 

반대로, 연준이 보유 자산을 늘리면

시중 유동성이 늘어나고,
이는 곧 통화(양적) 완화라고 부릅니다.

 

양적긴축(QT)은 돈을 거둬들이는 정책이고,
양적완화(QE)는 돈을 푸는 정책입니다.


2. 양적긴축이 끝나면 어떻게 되는가?

양적긴축(QT)이 종료된다는 것은
연준이 더 이상 시중 유동성을 줄이지 않겠다는 뜻이에요.
즉, 그동안 돈의 흐름을 죄던 ‘밸브’를 멈추겠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기술적 조치가 아니라,
통화정책 방향이 전환되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그렇다면 양적 완화가 시작되면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요?

 

1. 유동성 감소가 멈추고, 자금 흐름이 완화됨

QT가 끝나면 연준이 자산을 더 이상 줄이지 않기 때문에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이 더 이상 감소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은행 간 자금시장(레포시장 등)의 긴장 완화가 일어나고,
기업이나 개인이 자금을 조달하기 쉬워지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결국 금리 상승 압력도 완화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2.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QT 종료는 보통 기준금리 인하의 전조로 해석됩니다.

QT 자체가 시장금리를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를 중단한다는 것은 곧 긴축의 강도를 낮춘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QT가 끝난다 → 연준이 머지않아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
라고 받아들이게 됩니다.

 

3. 자산시장(주식·채권·부동산 등)의 긍정적 반응

QT 종료는 시장에 완화 신호로 작용합니다.

  • 채권시장 → 금리 하락 기대감으로 가격 상승
  • 주식시장 → 유동성 회복 기대감으로 상승 압력
  • 달러화 약세 → 금·원자재 강세

특히 기술주나 성장주는 “돈이 다시 풀릴 조짐”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QT 종료 뉴스만으로도 시장이 빠르게 움직이곤 합니다.

 

4. 하지만, 완화 전환은 “점진적 조정”으로 진행

연준은 QT를 갑자기 멈추지 않습니다.
보통  감속 → 부분중단 → 완전 종료의 단계를 거치며
시장 유동성 상황을 살펴가며 속도를 조절합니다.

QT가 끝났다고 바로 금리를 내리진 않지만,

“긴축 사이클이 거의 끝나간다”
는 신호로서 시장 심리에 큰 영향을 줍니다.


💬 정리하자면

양적긴축의 종료는 연준이 긴축정책의 마지막 단계를 지나
완화 국면으로 전환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변화 단계시장 해석경제적 의미
QT 지속 유동성 축소, 금리 상승 긴축 국면 유지
QT 감속 긴축 속도 완화 중립 전환 신호
QT 종료 유동성 회복 조짐 완화 전환 신호 (금리 인하 기대)

 

반응형

 

amd
amd

 

💡 오픈 AI가 선택한 AMD, 시장의 판을 바꾸다

연휴 기간 동안 가장 큰 뉴스는 바로 OpenAI와 AMD의 전략적 제휴 발표였습니다.
OpenAI가 AMD의 차세대 AI GPU를 공식적으로 도입하기로 하면서,
*NVIDIA 독주 체제에 균열이 생긴 것’으로 시장은 해석했습니다.

AMD의 MI300 시리즈는
이미 기술적으로 경쟁력을 입증해 왔고,
OpenAI의 대규모 모델 인프라에 공급된다는 사실은
AI 반도체 시장의 지형을 완전히 바꿔놓을 만한 뉴스였죠.

미국에서는 발표가 있고 2일간 거의 50% 정도의 폭등을 하였는데요

너무 많이 올랐어서 요즘 살짝 단기적인 조정 구간이 듯이 보입니다,
하지만 이번 상승은 단순한 뉴스 반응이 아니라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라고 생각합니다.
AI 인프라의 핵심 부품 공급망이 재편되기 시작했기 때문이죠.

 

그 결과는 연휴가 끝난 오늘 바로 나타났습니다.
제가 보유 중이던 473590 종목이 13% 이상 급등하며
강력한 모멘텀을 보여준 것입니다.

 

사실 저는 추석 연휴 전,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473590 종목을 두고 꽤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이미 차트상 명확한 돌파 구간에 진입한 상황이었지만,
연휴를 앞둔 시점이었고 이미 7% 이상의 수익을 보고 있던 지라

변동성을 고려해 매도를 할까 정말 많이 망설였었죠.

하지만 결국 ‘금리 인하의 신호’,
그리고 금값의 주춤함 속에서 시장의 무게 중심이
‘위험자산 선호’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신했습니다.

그래서 추석 연휴 이틀 전날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 를 


 

📈 투자에서 얻은 교훈

이번 경험을 통해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돌파 신호와 지지선 저항선을 명확하게 알고

투자에 임하는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요


망설임 대신 데이터와 트렌드의 본질을 믿은 선택이

결국 수익으로 이어진 거 같아 더 뜻깊은 것 같습니다!

저는 오늘 해당 종목은 80% 이상 정리했지만

다른 많은 분들은 더 많은 수익을 남기시길 바라며

이번 투자 복기를 마칩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9월 CPI 발표 랠리 시작?  (0) 2025.10.24
드디어 미국 양적 긴축(QT) 끝낸다  (0) 2025.10.21
PCE 발표 미장 동반 상승  (0) 2025.09.29
미국 금리 인하 전과 후  (0) 2025.09.19
💵 달러와 금의 상관 관계  (0) 2025.09.18
작년보다 작아진 스테이크를 들고 있는 사람
작년보다 작아진 스테이크를 들고 있는 사람

'실질임금(Real Wages)'은 근로자가 받는 임금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단순히 "월급을 얼마 받느냐" (명목임금)가 아니라,
"그 월급으로 실제로 물건을 얼마나 살 수 있느냐"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렇게 설명이 되어도 어려울거같아

아래 좀더 세분화 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실질임금의 개념

  • 명목임금 (Nominal Wages):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화폐 금액 그 자체입니다.
    통장에 찍히는 금액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 월급 300만원)
  • 실질임금 (Real Wages): 명목임금에서 물가 상승의 효과를 제거하고 계산한 임금입니다.
    즉, 물가 변동을 고려한 임금의 실제 가치를 의미합니다.

2. 계산 방법과 핵심 원리

실질임금은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CPI)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이 계산을 통해 물가 변동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의 생활 수준이 실제로 향상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3. 실질임금이 중요한 이유 (예시)

시점 명목 임금 물가 (생필품 가격) 실질 임금 (구매력)
작년 300만 원 100만 원 (기준) 300만 원
올해 330만 원 (10% 인상) 110만 원 (10% 인상) 300만 원
 

위 예시에서 월급(명목임금)은 30만원 올랐지만,

물건 가격도 정확히 같은 비율로 올랐기 때문에, 실질임금은 변함이 없습니다.

 

즉, 1년 전과 똑같은 양의 물건을 살 수 있을 뿐입니다.

  • 만약 명목임금이 5% 올랐는데 물가가 10% 올랐다면, 실질임금은 하락한 것이며
    근로자의 구매력은 오히려 감소합니다.
  • 반대로 명목임금이 10% 올랐는데 물가가 5%만 올랐다면, 실질임금은 상승한 것이며
    근로자의 생활 수준이 향상됩니다.

이처럼 실질임금은 경제 상황과 근로자의 삶의 질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반응형

'주식 > 주식 투자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쇼어링  (0) 2025.09.06
키움증권 영웅문 필수 창  (0) 2025.09.06
테이퍼링  (0) 2025.09.06
FDPR  (0) 2025.09.06
미국 투자 필수 보조 지표  (0) 2025.09.06

PCE에 환호하는 개미들
PCE에 환호하는 개미들

 

지난 금요일(9월 27일 새벽, 한국시간), 미국 주요 증시가 나란히 상승했죠.
그 배경에는 바로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최근 시장 분위기 먼저 짚어볼까요?

사실 이번 PCE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아주 중요한 발표였어요.
왜냐하면 얼마 전 연준이 내년 금리 인하 횟수 전망을 2번에서 3번으로 조정했거든요.

그런데 그 직후, 파월 의장이 “빅테크 주가가 상당히 고평가돼 있다”는 발언을 하면서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그 영향으로 3일 연속 미국 증시가 하락세를 보였죠.

 

그러다 보니 투자자들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이번 PCE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쏠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 흐름을 다시 확인하고, 연준의 정책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지표였기 때문이에요.


PCE 발표와 시장의 안도감

결과적으로 이번 PCE는 시장이 예상했던 범위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헤드라인과 핵심 PCE 모두 무난하게 나와주면서, 그동안 짙어졌던 불확실성이 한결 줄어든 거죠.

“혹시 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어떡하지?” 하는 우려가 사라지자,
투자심리가 살아났고, 그 덕분에 금요일 미국 증시가 동반 상승한 겁니다.

 

시장의 기대치(가이던스)와 실제 결과

  • 시장 가이던스
    전년 대비 헤드라인 PCE는 +2.7%, 핵심 PCE(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9% 수준이 예상됐습니다.
  • 실제 발표
    결과는  PCE는 +2.7%, 핵심 PCE(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9%로 동일하게 나왔습니다.
    큰 차이는 없었고, 시장이 미리 그려놨던 그림과 맞아떨어졌죠.

왜 미국 증시는 동반 상승했을까?

발표 직후 S&P500, 다우, 나스닥이 모두 반등했습니다.
이건 단순히 수치 때문이 아니라, PCE가 예상에 부합했다는 사실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1. 예상치와 일치 → 불확실성 해소
    “혹시 물가가 튀어나올까?”라는 걱정이 사라지면서 투자자들이 안도했습니다.
  2. 금리 부담 완화 기대
    물가가 안정적이니, 연준이 금리를 급격히 더 올릴 필요는 없다는 시그널로 해석됐습니다.
  3. 투자심리 회복
    안정된 인플레이션 흐름은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4. 섹터 전반 상승
    기술주, 경기 민감주 모두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고르게 올랐습니다.

투자자가 챙겨봐야 할 포인트

  • 이번 상승은 PCE 덕분이었다
    단순히 “좋은 뉴스가 나왔다”가 아니라,
    PCE가 가이던스와 부합했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줄고 증시가 반등한 겁니다.
  • 연준의 정책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발표가 예상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건,
    연준이 지금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상황을 지켜볼 여지가 있다는 뜻입니다.
  • 앞으로는 후속 지표가 더 중요하다
    고용, 소비, 제조업 지표가 추가로 나오면 시장의 방향성은 또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리

이번 금요일 미국 증시의 동반 상승은 바로

PCE 발표가 시장의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투자자들이 두려워하던 불확실성이 줄어든 덕분에,

시장은 안도했고 그 결과 전반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난 거죠.

 

앞으로도 중요한 건 단순히 지표의 높고 낮음이 아니라, “가이던스와의 차이가 얼마나 있는가”입니다.

 

이번처럼 시장이 예상한 범위 안에서 움직인다면,

투자심리는 안정되고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커집니다.

 

3일동안 주가가 빠지는거 잘 참으신 분들 월요일에있을 반등에 미리 축하 드립니다!

저도 이번에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가 많이 빠지길래 매수해두었는데 월요일이 기대되네요!!

그럼 미장 개미 분들은 모두 안심하시고 즐거운 주말 되세요~^^!!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미국 양적 긴축(QT) 끝낸다  (0) 2025.10.21
OpenAI 선택 받은 AMD 급등!  (0) 2025.10.11
미국 금리 인하 전과 후  (0) 2025.09.19
💵 달러와 금의 상관 관계  (0) 2025.09.18
9월 금리 인하 발표  (0) 2025.09.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