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급등에 놀란 사람들
아마존 급등에 놀란 사람들

 

DA Davidson 에서 아마존의 목표가를 300달러로 올린 이유

최근 미국 증시에서 아마존(Amazon.com, 티커: AMZN)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 보여지는 것은 증권사 DA Davidson이

아마존의 목표주가를 265달러에서 300달러로 상향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은 더욱 커졌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아마존이 왜 이렇게 오르고 있는 걸까요?
단순한 ‘기대감’이 아니라, 실적과 미래 전략이 분명히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아래 이같은 이유를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실적이 예상보다 훨씬 좋았다

아마존은 최근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적(Q3)**에서 시장의 예상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매출: 1,801억 달러 (예상치 1,778억 달러 상회)
  • 순이익(EPS): 1.95달러 (예상치 1.73달러 상회)
  • 주가 반응: 실적 발표 직후 시간외 거래에서 +12~13% 급등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부분은 바로 **클라우드 부문(AWS)**입니다.
AWS의 매출이 전년 대비 20% 증가하며, 최근 몇 년간의 성장 둔화를 완전히 회복했죠.
이건 단순한 반등이 아니라, AI(인공지능) 수요 폭발이

클라우드 사업에 새 바람을 불어넣었다는 뜻입니다.


2. “설비투자(CapEx)” 대폭 확대 발표, 미래 성장 자신감

이번 실적에서 가장 중요한 발표는 바로 ‘설비투자(CapEx)’ 확대입니다.

CapEx는 쉽게 말해 회사가 미래를 위해 지금 돈을 미리 쓰는 것,
데이터센터를 짓고, AI 서버를 사고, 인프라를 확충하는 비용이에요.

아마존은 올해(2025년) 설비투자 규모를 약 1,250억 달러로 잡았습니다.
이는 작년(2024년) 약 830억 달러보다 훨씬 많습니다 거의 50% 이상 증가죠.

이건 단순히 돈을 더 쓰겠다는 게 아닙니다.

“AI와 클라우드 시대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이렇게 해석했습니다.

“이 정도로 투자한다면, 향후 몇 년간 아마존은 AI 인프라 시장의 중심에 서 있을 가능성이 크다.”


 3. 클라우드 외 사업들도 ‘고르게’ 성장 중

아마존은 단지 클라우드 기업이 아닙니다.
광고, 온라인 쇼핑, 프라임 멤버십 등 다양한 수익원이 존재하죠.

이번 분기에서도

  • 광고(Ads)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
  • 리테일(판매) 부문이 효율화로 마진 개선,
  • 프라임 구독 서비스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즉,

“한쪽(클라우드)에만 기대는 기업이 아니라, 여러 엔진이 동시에 돌아가는 회사”
라는 걸 시장에 보여준 겁니다.
이건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뜻이죠.


4. 투자자들의 해석  “이건 단기 반등이 아니라 리레이팅”

DA Davidson은 이런 흐름을 분석하며
목표주가를 3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 이유는 명확합니다 

  1. 클라우드(AWS) 성장률 회복 → 다시 20%대로 복귀
  2. AI 인프라 투자 확대 → 미래 성장 기반 강화
  3. 리테일·광고 부문 수익성 개선 → 실적 체력 향상

결국 시장은 “아마존이 다시 성장 모드로 돌아왔다”고 판단한 겁니다.


💬 5. 한 줄 요약

아마존 급등의 핵심 이유는 ‘실적 개선 + AI 인프라 투자 확대 + 다각화된 수익 구조’입니다.
단순한 단기 반등이 아니라, 미래 성장에 대한 신뢰 회복이 주가를 끌어올렸습니다.


📈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1. AWS 성장률이 20% 이상 유지되는가
  2. AI 서버와 데이터센터 확장 속도
  3. CapEx 투자 대비 수익성(ROI) 개선 여부

이 세 가지가 향후 아마존 주가의 방향을 결정할 핵심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

급등 중인 오라클
급등 중인 오라클

 

최근 오라클(Oracle)의 주가가 급등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단기간에 수십 퍼센트 이상 급등하며 시가총액도 크게 증가했는데요,

 

그 배경에는 AI 시대를 선도하려는 오라클의 전략적인 행보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오라클 주가가 급등한 핵심 이유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OpenAI와의 ‘3,000억 달러’ 초대형 클라우드 계약 체결

지난 수요일, 시장을 뒤흔드는 뉴스가 발표됐습니다.

OpenAI가 향후 5년 동안 오라클로부터 총 3,000억 달러 규모의 컴퓨팅 파워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클라우드 역사상 최대 규모의 계약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오라클의 클라우드 부문에 대한 신뢰와 성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계약은 단순한 기술 제공이 아니라,

AI 인프라 시장에서 오라클이 핵심 공급자로 자리매김했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OpenAI는 ChatGPT를 비롯한 초거대 AI 모델을 운영하면서 막대한 연산 자원이 필요하며,

오라클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그 중심에 서게 된 것이죠.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투자자들은 오라클의 미래 성장성에 주목했고,

이는 즉각적인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 RPO(잔여 성능 의무)의 폭발적 증가

오라클은 2026 회계연도 1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받은 장기 클라우드 계약이 포함된 RPO(Remaining Performance Obligations)가

1,380억 달러에서 무려 4,55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숫자는 곧, 오라클이 앞으로 몇 년간 얼마나 안정적으로 매출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자,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를 반영합니다.


☁️ 클라우드 매출의 고성장

오라클의 퍼블릭 클라우드 및 인프라 관련 부문은 전년 대비 55% 이상 성장하며

시장 평균을 크게 웃도는 실적을 보였습니다.

특히 AI 모델 훈련에 최적화된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OCI)는

대형 고객들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시가총액 급등 & 창업자의 글로벌 순자산 1위 등극

이번 주가 상승으로 인해 오라클의 시가총액은 9,100억 달러를 넘기며

1조 달러에 근접했습니다. 더불어 창업자 래리 엘리슨은 일시적으로

일론 머스크를 제치고 세계 부호 순위 1위에 등극하는 등, 상징적인 기록도 함께 세웠습니다.


🔮 미래를 위한 공격적 AI 인프라 투자

오라클은 향후 350억 달러 이상의 자본 지출을 통해 전 세계에 AI 전용 데이터 센터를 확장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체 AI 데이터베이스, 고성능 GPU 클러스터 등

새로운 AI 중심 서비스를 지속해서 선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에도 기대가 모아집니다.


✅ 마무리

이번 오라클의 주가 급등은 단순한 실적 호조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OpenAI와의 초대형 계약 체결은 AI 인프라 시대의 주도권 경쟁에서

오라클이 얼마나 경쟁력 있는 위치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투자자들은 이제 단기 실적뿐 아니라,

오라클이 AI 시대의 ‘인프라 제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 10억 달러치 테슬라 매입  (0) 2025.09.16
8월 CPI 발표  (0) 2025.09.11
엔비디아 Rubin CPX 발표  (0) 2025.09.10
알파벳(구글) 반독점 소송 승소!  (0) 2025.09.03
25년 8월 29일 미국 주가 무너진 이유  (0) 2025.09.01

+ Recent posts